전체기사
검색
검색
검색
과학관과문화소식
하나고르기탐구교실
국내외 과학관 탐방
코딩교실
글쓰기 & 소감문
과학관뉴스
과학포스터전
강연 & 자료
역사로 배우는 양자이론 1편 : 양자이론이란 무엇이고 어떤 유용성이 있는가?
<양자이론 1편: 전승준 교수>양자이론을 역사를 통하여 일반인들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는 강의 시리즈의 1편입니다. 양자이론이 무엇이고 어떤 유용성이 있는가를개략적으로 설명한 ...
(사)과문연과 (사)신과람, KSES 이해와 홍보 온라인 실시간 강연 및 대담 개최
(사)과학문화교육단체연합(이하 과문연)은(사)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(이하 신과람)과 협업해 온라인 강연회를 개최한다.(사)과문연은 한국과학창의재단 후원으로 KSES(미래세대 과학교 ...
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재상 - 과학영재아카데미 노벨반 지도교수 권기균
“담임 교수가 학생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“ 원고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재상- 이노베이터가 갖춰야할 능력들 과학영재아카데미 노벨반 지도교수 권기균 4차 산업혁명시대의 개념 ...
아이들과 봄나들이 ‘자연사박물관’ -2015. 4. 14 사이언스타임즈 권기균 박사 기고
...
‘하나 고르기’의 마법에 빠져보자 - [과학의 달 특별기획] 과학관 10배 즐기기 (1)
4월은 ‘과학의 달’이다. 그래서 각 학교들마다 4월이 되면, 여러 가지 과학 관련 행사들을 개최한다. 과학자 초청 특강이나, 과학책을 읽고 독후감 쓰기, 물 로켓 경진대회 등 행사의 내 ...
세상을 바꾼 과학이야기
출판사 서평과학이 어렵다? 지금부터 쉽고 흥미진진한 과학 이야기가 시작된다“이 책에 담겨 있는 글들은 딱딱하지 않고 부드럽다. 과학을 얘기하면서도 흥미진진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어 ...
[위대한 발명] 우주 나이는 137억 살이래요 - <소년조선일보 2015.06.15. 게재>
신비한 세계, 은하 下밤하늘의 별들은 왜 반짝이는 걸까요? 사실 별들은 반짝이지 않아요. 그게 무슨 얘기냐고요? 별은 반짝이지 않고 그냥 타고 있는데, 지구의 대기 때문에 반짝이는 것처럼 ...
[위대한 발명] 우리 은하는 '막대나선은하'예요 - <소년조선일보 2015.06.08. 게재>
-신비한 세계, 은하 上밤하늘에 반짝이는 건 다 별일까요? 금성의 다른 이름이 샛별이니까 금성도 별일까요? 대체 별이란 뭘까요? 별은 영어로 스타(star)예요. '스스로 타니까 스타'라고 생각 ...
[위대한 발명] 퀴리 가문, 노벨상 금메달이 다섯 개 - <소년조선일보 2015.06.01. 게재>
노벨상에 대해 궁금한 것들 下노벨 과학상에 대해 알아보는 마지막 시간입니다.먼저 노벨상의 상금 액수로 이야기를 시작해볼게요. 노벨상의 상금 액수는 어마어마해요. 처음 상금은 당시 ...
노벨상에 대해 궁금한 것들 上 - <소년조선일보 2015.05.25. 게재>
노벨상에 대해 궁금한 것들 上"왜 우리나라에는 아직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없는 걸까? 우리도 노벨상을 타자!"이런 말들을 많이 들어봤을 거예요. 위대한 과학자와 발명가는 노벨 ...
[위대한 발명] 암컷 모기만 사람·동물 피 빨아먹죠 - <소년조선일보 2015.05.18. 게재>
모기와 말라리아 여름철이면 우리를 괴롭히는 것이 있어요. 바로 모기예요. 모기는 주삿바늘 같은 입으로 사람 피부를 찔러 피를 빨아먹어요. 모기가 피를 빨아먹는 과정은 아주 정교해요. ...
[위대한 발명] 번개, 갑작스러운 전기 충돌로 발생 - <소년조선일보 2015.05.11. 게재>
-번개·천둥의 과학 레오나르도 다빈치 알죠? 그는 이미 500여 년 전에 왜 번개가 치면 천둥이 뒤따라오는지를 궁금했어요. 보통 사람들에게 왜 그런지 물으면 '빛의 속도가 소리의 속도보다 ...
[위대한 발명] 암세포 속 '텔로머라제'로 수명 연장 - <소년조선일보 2015.05.04. 게재>
―100세 시대 살기 길고 긴 만리장성을 쌓은 사람은 중국 진나라의 시황제예요. 그는 최초의 황제라는 뜻에서 시황제라고 자신을 부르게 했어요. 그런 그가 모든 권력을 휘어잡고도 이루지 못 ...
[위대한 발명] '달에는 생명체 없다'는 사실 밝혀 - <소년조선일보 2015.04.27. 게재>
―달 착륙 성공한 아폴로 11호 1969년 7월 16일(이하 현지 시각) 미국에서 아폴로 11호가 발사됐어요.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 이름은 '이글(Eagle)'이었어요. 비행에 나선 우주인은 ...
[위대한 발명] 핵무기의 개발과 사용 규제를 주장 - <소년조선일보 2015.04.20. 게재>
―과학계의 거장 닐스 보어 아인슈타인은 20세기 가장 유명한 과학자 중 한 명이에요. 독일의 과학자 오토 한이 우라늄 핵분열 실험에 성공한 이듬해,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어요. 그러자 ...
[위대한 발명] 전국을 돌며 나비 75만 마리 관찰 - <소년조선일보 2015.04.13. 게재>
―'나비 박사' 석주명 우리나라에는 '나비 박사'라는 별명을 가진 석주명(石宙明) 선생이 있어요. 석주명은 42년 동안 75만 마리가 넘는 나비를 채집했어요. 일본 학자들이 잘못 ...
[위대한 발명] 현미경 만들어 최초로 미생물 관찰 - <소년조선일보 2015.04.06. 게재>
―안토니 판 레벤후크미생물은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생물이에요. 그래서 현미경으로 봐야 보여요. 얼마나 작냐고요?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물체의 가장 작은 크기가 0.1㎜인데 그 ...
[위대한 발명] 실처럼 가늘지만, 강철처럼 강해요 - <소년조선일보 2015.03.02. 게재>
― 기적의 섬유, 나일론영화 속 스파이더맨의 강력한 거미줄. 하지만 부러워만 하지 마세요. 우리도 가늘고 강력한 섬유를 가지고 있으니까요. 바로 나일론이에요. 나일론은 여러분의 운동화 ...
[위대한 발명] 월면차, 달나라 우주인의 발이 되다 - <소년조선일보 2015.03.30. 게재>
― 달로 가는 자동차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는 38만4400㎞예요. 지구의 지름이 1만2756㎞니까 중간에 지구가 30개 정도 있는 셈이죠.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의 843배쯤 돼요.이렇게 멀고 먼 달에 ...
[위대한 발명] 일본 침략 대비한 '돌격용 전투선' - <소년조선일보 2015.03.23. 게재>
― 구국의 발명, 거북선'임진왜란'은 일본이 1592년 임진년에 조선을 침략하면서 발발했어요. 전쟁은 7년이나 계속됐습니다. 전쟁 대비를 하지 않았던 조선은 20일 만에 한양을 빼앗겼습니다 ...
1
2
3
URL 복사
x
http://m.sciencecc.com/
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.
PC버전
Copyright ⓒ 과학관과문화 www.sciencecc.com. All rights reserved.